우리가 편안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하게 되면 하루 컨디션에 굉장히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수면은 우리의 삶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요소가 되었는대요. 이러한 수면이 다이어트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그래서 오늘은 수면과 다이어트에 대한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현대 사회는 굉장히 바쁘고 빠르게 돌아갑니다.
과중한 업무로 인해 야근이 늘고 많은 학업량으로 수면시간을 줄이면서까지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이 우리네 현실이지요.
하지만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생기는 문제들 또한 상당합니다.
# 수면 부족으로 인한 부작용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피로감이 쉽게 느끼게 됩니다. 또한 인지능력 등이 감퇴하는 것도 수면 부족으로 오는 부작용의 하나입니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부서운 것은 잠이 부족하게 되면 쉽게 살이 찐다는 것. 잠이 부족하면 야참 등을 먹게 되고 스트레스를 받으면 우리는 식욕이 폭발하게 되어 살이 찔 수 밖에 없게되지요. 그러나 잠을 많이 자게 되면 이러한 요소들로부터 멀어진다는 의미가 됩니다.
# 올바른 수면법
1. 무리하게 잠을 줄이지 말자.
-바쁘고 타이트한 현대 사회를 살고 있는 우리들. 잠을 자는 시간조차 아껴가며 열심히 살고 있지만 그러다보니 늘상 수면과 씨름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쇼트슬리퍼라 불리우는 사람들(하루 3~4시간씩 자도 멀쩡한 사람들)은 우리를 더욱 불안하게 만들지요. 제 경우도 주변에 하루 2시간씩만 잠을 자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 사람은 어느 곳에서 누구를 만나든 해박한 지식으로 대화에 자연스럽게 참여하는 모습이 너무나 부러웠습니다. 그래서 그 사람처럼 살아보고 싶은 마음에 한동안 수면시간을 하루에 4시간으로 제한하고 생활을 했더랬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지내다보니 낮에는 너무나 심각한 수면 욕구로 낮잠시간이 길어지는 상황이 발생하더라구요. 결국 저는 수면시간을 줄이기보다는 눈을 뜨고 있는 시간에 무언가를 더욱 집중하자는 것으로 결론지었습니다.
보통 쇼트슬리퍼라 불리우는 사람들은 후천적인 노력이나 훈련보다는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많은 워커홀릭인들도 대부분 심각한 수면장애를 갖고 있다고 합니다.
무엇을 하기 위해 수면을 줄이기 보다는 충분한 수면으로 컨디션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는 것이 좀 더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말이지요.
다들 충분한 수면 시간을 갖길 바래요.
2. 하루 수면 시간은 8시간정도로 정한다.
- 우리들에게 가장 이상적인 수면 시간은 과연 몇시간이 필요한걸까요?
많은 실험등을 통하여 종합하여보면 1일 8시간정도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OECD가입국의 평균 수면 시간은 약 7시간 40분정도라고 하는대요.
체운이 내려가고 장운동이 둔화되는 밤 10시경이 잠자리에 들기에 적합한 시간이며 기상시간은 아침 6~7시쯤이 이상적이라고 합니다.
3. 낮잠시간은 30분 이하로 정하자.
- 낮잠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긍정적인 효과는 피로를 회복하고 정신이 맑아지고 집중력을 높여주지요. 하지만 부정적인 효과로는 밤잠의 방해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적당한 낮잠 시간은 가장 졸릴 시간인 2~3시경 10~20분 정도가 밤잠에 영향이 없고 피로회복에 좋은 시간이라고 합니다.
4. 전자파 디톡스
- 우리의 몸은 오후 6~7시경이 되면 몸의 전원 스위치를 하나씩 끄게 됩니다. 헌데 전자제품등에서 뿜어내는 블루라이트가 뇌로 하여금 여전히 낮시간으로 착각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숙면을 원할 경우 가급적 수면 시작 2시간 전에는 핸드폰 등을 가까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차라리 잠이 오지 않아서 핸드폰을 뒤척이기 보다는 독서를 하거나 일기등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5. 달밤의 체조는 아니아니 아니되오
- 적당한 운동으로 숙면에 도움이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잘못하면 오히려 불면증을 유발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그러하니 가급적이면 운동은 저녁 8시 이전에 끝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을 숙지하여 수면으로 인해 다이어트의 방해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다이어트 성공의 지름길 입니다.
건강한 다이어터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알아야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냉방병 증상 및 완전 극복 (0) | 2016.06.28 |
---|---|
목주름 예방 및 관리방법 / 목주름 없애는 법 (0) | 2016.06.28 |
연예인 다이어트 / 다이어트의 종류 (0) | 2016.06.26 |
다이어트 후 유지하기 / 요요 방지 (0) | 2016.06.21 |
전주 콩나물 국밥 / 콩나물 국밥의 효능 / 삼백집 콩나물 국밥 (0) | 2016.06.20 |